맨위로가기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는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서 발견된 불교 경전 및 관련 자료들이다. 이 복장불서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필사 또는 간행된 다양한 불교 경전을 포함하며, 2018년 보물 제1983호로 지정되었다. 묘법연화경, 불설아미타경, 대방광불화엄경, 금강경 등 총 16종 71점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불교 의례와 신앙,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달서구의 문화유산 - 역옹패설
    《역옹패설》은 고려 말 학자 이제현이 쓴 수필집으로, 역사, 인물 일화, 시화 등을 만록체 형식으로 담아 몽골 간섭과 무신정권의 폐해를 비판하고 민족 자주성, 정치 현실, 문학에 대한 관점을 보여주며, 조선 전기 사대부들의 문학, 정치, 철학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 대구 달서구의 문화유산 - 신한첩 곤
    신한첩 곤은 효종, 현종, 숙종,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가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 어찰 36통을 모아 엮은 책으로, 조선 왕실 한글 어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달성 대견사지 삼층석탑
    달성 대견사지 삼층석탑은 비슬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9세기 헌강왕 때 대견사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훼손된 것을 1988년 달성군에서 복원하였다.
  •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성모당
    성모당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로고에 사용된 건축물이며, 정면과 내부 동굴의 사진을 통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복장유물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들로, 불상의 조형성과 조각적 완성도가 뛰어나며 조선 후기 복장 의례 연구, 불상 연대 추정, 직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복장유물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1606년에 제작된 석가여래삼불좌상과 복장유물로, 조선 중·후기 불교 조각 양식을 보여주며, 17세기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될 가치가 있다.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원어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佛書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유형유형문화재
번호77
지정일2016년 3월 10일
주소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로8안길 35 (송현동)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재)선학원 보성선원
수량55종 550점
위치 정보

2. 지정 내역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801호)의 복장에서 나온 서적 55종 550점을 일괄하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하였다. 이 중 4종은 2013년 보물 제1802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으로 별도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1]

2. 1. 지정 정보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는 보성선원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801호)에 납입되었던 서적 55종 550점이다. 이는 필사본 5종과 목판인쇄본 50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불상 조성 시기인 1647년보다 앞서 병자호란(1636년) 이전에 인쇄된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일괄하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당시 함께 봉안되었던 전적 중 4종은 2013년 보물 제1802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으로 지정되어 별도로 보존 관리되고 있다.[1]

지정
번호
명칭재료구조·형식·
형태
규격수량기타특징
77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
삼존좌상 복장불서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
三尊坐像 腹藏佛書)
55종 550점
-1금강반야바라밀경 권상,하
(金剛般若波羅密經 卷上,下)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7cm×24.5cm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0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3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권상,하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卷上,下)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cm×23.8cm2권2책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4금강반야바라밀경석보상절
(金剛般若波羅蜜經釋普詳節)
지(紙)필사본(筆寫本)25cm×14.5cm1책제작연대:
16세기
-5대방광불화엄경 권58
(大方廣佛華嚴經 卷58)
지(紙)필사본(筆寫本)
백지묵서사경
(白紙墨書寫經)
27.8cm×563.2cm1축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6대방광불화엄경소 권1­2
(大方廣佛華嚴經䟽 卷1-2)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8cm×22.1cm1책
(零本)
제작연대:
1635년
-7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권1­6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1-6)
지(紙)목판본(木板本)38.5cm×25.1cm6권5책제작연대:
1611년
-8대불정수릉엄신주
(大佛頂首楞嚴神呪)
지(紙)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9.3cm×49.7cm445매제작연대:
1647년이전
-9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cm×15.2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0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6cm×17.3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1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cm×16.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2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cm×15.8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3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1cm×1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4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2cm×15.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5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cm×17.4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6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7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6-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7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8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4cm×18.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9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4cm×16.9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0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cm×1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1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3cm×16.4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2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大字本)
35cm×22cm1책
(零本)
제작연대:
성종연간
-23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1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4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5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5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6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2.5cm×21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7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후쇄
(大字本,後刷)
34cm×20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8묘법연화경 권2, 3­4, 5­7
(妙法蓮華經 卷2, 3-4, 5-7)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5.8cm×24cm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29묘법연화경 권2­7
(妙法蓮華經 卷2-7)
지(紙)목판본(木板本)35.8cm×24cm6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0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목판본(木板本)36.5cm×24.5cm4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1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7cm×2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2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cm×1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3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2cm×15.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4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
지(紙)목판본(木板本)30.5cm×17.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5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목판본(木板本)29.3cm×18.1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6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목판본(木板本)32.6cm×17.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7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목판본(木板本)29.2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8묘법연화경 권3, 5­7
(妙法蓮華經 卷3, 5-7)
지(紙)목판본(木板本)29.1cm×18cm2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9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목판본(木板本)36.8cm×21.7cm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0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목판본(木板本)33cm×20cm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1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목판본(木板本)28.2cm×17.1cm1책
(零本)
제작연대:
16세기
-42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지(紙)필사본(筆寫本)16cm×28.2cm1장제작연대:
조선중기
-43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
지(紙)목판본(木板本)30.5cm×17.5cm1책
(10장)
제작연대:
임란전후
-44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
지(紙)목판본(木板本)48.9cm×36.2cm10장제작연대:
임란전후
-45부모은중경(언해)
(父母恩重經(諺解))
지(紙)목판본(木板本)27cm×17cm1책제작연대:
1580년
-46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cm×15.5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
-47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
(佛頂心觀世音菩薩姥陀羅尼)
지(紙)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8cm×48.5cm25장제작연대:
1647년
-48불조삼경
(佛祖三經)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4.5cm×17.5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49선가귀감
(禪家龜鑑)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7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
-50예념미타도량참법 권2­3
(禮念彌陀道場懺法 卷2-3)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0cm×22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51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cm×17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
-52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5cm×16cm1책제작연대:
선조연간
-53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5.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54의라수진언
(宜螺手眞言)
지(紙)필사본(筆寫本)15cm×77.3cm1장제작연대:
미상
-55정상불수진언
(頂上佛手眞言)
지(紙)필사본(筆寫本)15.3cm×78.4cm1장제작연대:
미상


2. 2. 불서 목록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는 보성선원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801호)에 납입되었던 서적 55종 550점으로 구성된다. 이 중 필사본은 5종, 목판본은 50종이며, 모두 불상 조성(1647년) 이전이자 병자호란(1636년) 이전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일괄하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한편, 함께 봉안되었던 전적 중 4종은 2013년 보물 제1802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으로 별도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1]

지정
번호
명칭재료구조·형식·
형태
규격수량기타특징
77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
삼존좌상 복장불서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
三尊坐像 腹藏佛書중국어
55종 550점
-1금강반야바라밀경 권상,하
金剛般若波羅密經 卷上,下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7cm×24.5cm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0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3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권상,하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卷上,下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cm×23.8cm2권2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4금강반야바라밀경석보상절
金剛般若波羅蜜經釋普詳節중국어
(紙)필사본(筆寫本)25cm×14.5cm1책제작연대:
16세기
-5대방광불화엄경 권58
大方廣佛華嚴經 卷58중국어
(紙)필사본(筆寫本)
백지묵서사경
(白紙墨書寫經)
27.8cm×563.2cm1축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6대방광불화엄경소 권1­-2
大方廣佛華嚴經䟽 卷1-2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8cm×22.1cm1책
(零本)
제작연대:
1635년
-7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권1­-6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1-6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8.5cm×25.1cm6권5책제작연대:
1611년
-8대불정수릉엄신주
大佛頂首楞嚴神呪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9.3cm×49.7cm445매제작연대:
1647년 이전
-9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cm×15.2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0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6cm×17.3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1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cm×16.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2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cm×15.8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3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1cm×1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4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2cm×15.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5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cm×17.4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6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7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6-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7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8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4cm×18.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19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4cm×16.9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0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cm×1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1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3cm×16.4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2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大字本)
35cm×22cm1책
(零本)
제작연대:
성종 연간
-23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1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4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5cm×16.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5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6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2.5cm×21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7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후쇄
(大字本,後刷)
34cm×20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8묘법연화경 권2, 3­-4, 5­-7
妙法蓮華經 卷2, 3-4, 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5.8cm×24cm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29묘법연화경 권2­-7
妙法蓮華經 卷2-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5.8cm×24cm6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0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6.5cm×24.5cm4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1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7cm×2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2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cm×17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3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2cm×15.3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4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0.5cm×17.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5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29.3cm×18.1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6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2.6cm×17.6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37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29.2cm×18.3cm1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8묘법연화경 권3, 5­-7
妙法蓮華經 卷3, 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29.1cm×18cm2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9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6.8cm×21.7cm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0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3cm×20cm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1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28.2cm×17.1cm1책
(零本)
제작연대:
16세기
-42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중국어
(紙)필사본(筆寫本)16cm×28.2cm1장제작연대:
조선 중기
-43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30.5cm×17.5cm1책
(10장)
제작연대:
임진왜란 전후
-44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48.9cm×36.2cm10장제작연대:
임진왜란 전후
-45부모은중경(언해)
父母恩重經(諺解)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27cm×17cm1책제작연대:
1580년
-46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cm×15.5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47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
佛頂心觀世音菩薩姥陀羅尼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8cm×48.5cm25장제작연대:
1647년
-48불조삼경
佛祖三經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4.5cm×17.5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49선가귀감
禪家龜鑑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7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50예념미타도량참법 권2­-3
禮念彌陀道場懺法 卷2-3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0cm×22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51육경합부
六經合部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cm×17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52육경합부
六經合部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5cm×16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
-53육경합부
六經合部중국어
(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cm×15.5cm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54의라수진언
宜螺手眞言중국어
(紙)필사본(筆寫本)15cm×77.3cm1장제작연대:
미상
-55정상불수진언
頂上佛手眞言중국어
(紙)필사본(筆寫本)15.3cm×78.4cm1장제작연대:
미상


2. 2. 1.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卷上,下중국어(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8.7cm×24.5cm3책
(零本)선조연간 전후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중국어(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0cm×16.5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권상,하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卷上,下중국어(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8cm×23.8cm2권2책선조연간 전후금강반야바라밀경석보상절
金剛般若波羅蜜經釋普詳節중국어(紙)필사본(筆寫本)25cm×14.5cm1책16세기


2. 2. 2. 대방광불화엄경

형태규격수량기타특징대방광불화엄경 권58
(大方廣佛華嚴經 卷58)(紙)필사본(筆寫本)
백지묵서 사경(白紙墨書寫經)27.8cm×563.2cm1축
(영본(零本))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대방광불화엄경소 권1­-2
(大方廣佛華嚴經䟽 卷1-2)(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1.8cm×22.1cm1책
(영본(零本))제작연대:
1635년


2. 2. 3.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중국어 권1부터 권6까지 총 6권이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는 종이이며, 목판으로 인쇄된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38.5cm, 가로 25.1cm이며, 1611년에 제작되었다.

2. 2. 4. 대불정수릉엄신주

'대불정수릉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는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중 하나이다. 종이를 재료로 하여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붉은색으로 인쇄(주쇄, 朱刷)되었다. 크기는 세로 29.3cm, 가로 49.7cm이고 총 445매가 발견되었다. 제작 시기는 1647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2. 2. 5. 몽산화상육도보설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에서는 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2점이 발견되었다. 두 점 모두 종이 재질의 목판본이며, 후쇄(後刷)로 보인다. 제작 시기는 선조 연간 전후로 추정된다.

2. 2. 6.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8.5cm×16.7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7cm×15.8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8.1cm×16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6.2cm×15.5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8cm×17.4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cm×16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6-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9.7cm×18.3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1.4cm×18.5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4cm×16.9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7cm×17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3cm×16.4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大字本)35cm×22cm1책
(零本)성종연간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1cm×16.5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5cm×16.5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8.5cm×18.3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2.5cm×21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대자본,후쇄
(大字本,後刷)34cm×20cm1책
(零本)선조연간 전후묘법연화경 권2, 3­4, 5­7
妙法蓮華經 卷2, 3-4, 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5.8cm×24cm3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2­7
妙法蓮華經 卷2-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5.8cm×24cm6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6.5cm×24.5cm4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7cm×25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31cm×17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2cm×15.3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0.5cm×17.5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29.3cm×18.1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2.6cm×17.6cm1책
(零本)선조연간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29.2cm×18.3cm1책
(零本)1604년묘법연화경 권3, 5­7
妙法蓮華經 卷3, 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29.1cm×18cm2책
(零本)1604년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6.8cm×21.7cm1책
(零本)1615년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33cm×20cm1책
(零本)1615년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중국어지(紙)목판본(木板本)28.2cm×17.1cm1책
(零本)16세기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중국어지(紙)필사본(筆寫本)16cm×28.2cm1장조선 중기


2. 2. 7. 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형태규격수량제작 연대-43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중국어 (紙중국어)목판본 (木板本중국어)30.5cm×17.5cm1책 (10장)임진왜란 전후-44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중국어 (紙중국어)목판본 (木板本중국어)48.9cm×36.2cm10장임진왜란 전후


2. 2. 8. 부모은중경(언해)

부모은중경을 한글로 번역한 언해본이다. 종이를 재료로 사용한 목판본이며, 크기는 세로 27cm, 가로 17cm이다.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80년(선조 13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2. 2. 9. 불설아미타경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중국어종이(紙중국어)를 재료로 하여 목판본(木板本)으로 간행된 1책 분량의 불경이다. 나중에 인쇄된 후쇄본(後刷本중국어)이며, 크기는 세로 29cm, 가로 15.5cm이다. 제작 연대는 선조 연간이다.

2. 2. 10. 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의 일부인 佛頂心觀世音菩薩姥陀羅尼|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zho종이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다라니 경전이다. 붉은색으로 인쇄한 주쇄본(朱刷本)이며, 크기는 세로 28cm, 가로 48.5cm이다. 총 2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647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2. 2. 11. 불조삼경

佛祖三經zho은 종이를 재료로 하여 만든 목판본 불경이다. 후대에 다시 찍어낸 후쇄본으로, 크기는 세로 24.5cm, 가로 17.5cm이며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 시기는 선조 연간 전후로 추정된다.

2. 2. 12. 선가귀감

wikitext

명칭재료구조·형식·형태규격수량제작연대
선가귀감(禪家龜鑑)(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cm × 17cm1책선조 연간


2. 2. 13. 예념미타도량참법

예념미타도량참법( ) 권2-3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의 일부이다. 종이를 재료로 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후대에 인쇄된 후쇄(後刷)본이다. 크기는 세로 30cm, 가로 22cm이며, 총 1책이나 완질이 아닌 일부만 남은 영본(零本)이다. 제작 연대는 선조 연간으로 추정된다.

2. 2. 14. 육경합부

번호명칭재료구조·형식·
형태규격수량기타특징-51육경합부
六經合部zho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8cm × 17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52육경합부
六經合部zho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6.5cm × 16cm1책제작연대:
선조 연간-53육경합부
六經合部zho지(紙)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27cm × 15.5cm1책
(零本)제작연대:
선조 연간 전후


2. 2. 15. 의라수진언

의라수진언(宜螺手眞言)은 종이에 직접 쓴 필사본(筆寫本)이다. 크기는 15cm × 77.3cm이며, 총 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미상).

2. 2. 16. 정상불수진언

頂上佛手眞言|정상불수진언중국어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의 일부로 발견된 불경이다. 종이에 직접 쓴 필사본(筆寫本) 형태로, 총 1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기는 세로 15.3cm, 가로 78.4cm이며,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